설립목적 및 연혁

History

43만 동문의 요람, 서울대학교총동창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학 동문조직
서울대학교총동창회는 50년이라는 시간을 거치며 명실공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동문조직으로 자리 잡았다. 1969년 창립 당시 8만여 명의 동문조직이었던 서울대학교총동창회는 현재 43만 회원의 동문조직으로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전국 각지는 물론 해외에서도 활동하며 사회 전반적으로 폭넓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2019년 현재 서울대학교총동창회는 25개 단과대학·대학원 동창회, 26개 특별과정 동창회, 관악무역인회, 관악언론인회, 관악극예술회, ROTC동문회 등 특수목적을 가진 4개의 직능지부가 있으며, 28개 지방지부와 11개 해외총동창회 및 55개 해외지부가 있다.

단과대학(원) 동창회로는 간호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구 농과대학), 문리과대학, 미술대학, 법과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상과대학, 생활과학대학(구 가정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의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치과대학(원), 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대학원, 보건대학원, 행정대학원, 환경대학원, 언론정보학과대학원 동창회가 있다.

해외는 미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영국, 미얀마, 이탈리아 등 11개의 총동창회와 55개의 지부가 있다.

교육기관의 핵심적인 역할은 훌륭한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에 맞는 인재란 획일성보다 다양성과 창조성이 중요시되며, 현대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야말로 대학의 사명이다. 서울대학교총동창회는 동문 상호 간의 친목모도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가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고 세계의 대학으로 발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단과대학별 활동기 (1946. 10~1969. 1)

각 단과대학에 따라 동창회가 구성되고 활동이 전개되던 이 시기는 졸업생의 명칭도 서울대학교 졸업생이 아니라 단과대학별 졸업생이라 일컬어졌다. 그만큼 단과대학별로 활동이 이뤄지고 서울대학교라는 통일된 명칭은 잘 사용되지 않았다. 단과대학별 동창회의 활동도 자연히 해당 학과별로 동창회원 명부 발간, 모교 재학생에 관한 장학금 지급 등이 대표적인 것이었다.

연립적 활동기 (1969. 2~1974. 6)

1969년 2월 12일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창립총회를 개최, 이 자리에서 박두병 동문이 초대회장으로 취임하고 ‘서울대학교총동창회 회칙’을 통과시켰다. 박두병 회장 재임 기간 동안은 동창회 활동과 서울대학교를 위한 제반 사업이 활발히 추진됐던 시기로, 1970년부터 서울대학교 재학생 중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고, 1974년 3월에는 관악캠퍼스 조경사업을 위한 헌수 운동 전개를 결의해 2개월 만에 60여만 원의 헌수금을 접수하기도 했다. 동창회를 이끌던 박두병 회장이 1973년 별세함에 따라 원용석 동문이 대행했다.

통합 활동기 (1974. 6~1980. 3)

민복기 회장은 제5부터 제7대까지 회장직을 연임하며 동창회를 발전시켰다. 민복기 회장은 <서울대학교 동창회보> (1976년 4월 24일 창간)를 격월간으로 발간했으며, 동창회가 날로 활성화됨에 따라 동문들의 동창회에 대한 참여 폭은 계속 확대되었다. 이에 1977년 4월 29일 정기총회에서 회원 자격에 관한 회칙을 개정했으며 같은 해 6월 상임이사회에서 동창회 휘장을 제정하고, 동창회 지표로 ‘참여·협력·영광’을 제정했다.

기반 구축기 (1980. 3~1994. 3)

1980년에는 원용석 동문이 제8대 동창회장에 취임하면서 격월간으로 발행되던 <서울대학교 동창회보>를 월간화해 전 서울대인의 대변지로 만들었다. 같은 해 재단법인 관악회가 설립돼 매년 모교 재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한 것도 눈에 띄는 발전이다. 1982년 제9대 회장에 취임한 김준성 동문은 이사의 수를 1천40명으로 늘리며 동창회 조직을 대폭 강화했다. 1984년 제10대 회장에 취임한 최주호 동문은 10억 원 기금 조성, 명부 간행 계획안 등을 완수하며, 동창회의 활성화와 동문의 참여를 끌어냈다. 또한, 동창회관 건립에 박차를 가해 1987년 3월 동창회관을 건립하며 서울대학교총동창회가 창립되면서 움텄던 동창회관 건립에 대한 염원을 이루었다.

도약 발전기 (1994. 3~2002. 3)

1994년 제15대 동창회장으로 김재순 동문이 선출된 이후 서울대학교총동창회는 다양한 성장을 이루며 대약진의 기회를 마련했다. 김재순 회장은 18대까지 역임하면서 총동창회 홈페이지(www.snua.or.kr)를 오픈하는 등 젊은 동문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으며, 특지장학금 운영, 관악대상 제정 등 장기 계획을 통해 조직 활성화, 재정 확충, 서울대학교 지원 확대에 박차를 가했다. 또 총동창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동창회장, 관악회 이사장을 분리 검토하였으며, 과학발전연구기금 1백억 원 조성 계획 등을 발표하며 서울대학교와 동창회를 위한 내실있는 발전을 기했다.

중흥 발전기 (2002. 3~2014. 3)

2002년 3월 제19대 회장에 취임한 임광수 동문은 장학빌딩 건립으로 장학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2003년 4월에 관악언론인회를 발족하는 등 동창회를 활성화했다. 서울대 폐교론에 대해서는 이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대대적으로 캠페인을 벌이는 등 서울대학교의 존립 당위성을 환기하고 여론화시킴으로써 폐교론을 무산시켰다. 총동창회가 창립 40주년을 맞은 2009년에는 ‘중흥 비전·도약 플랜’을 발표, 동창회의 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새 동창회관으로 건축한 SNU장학빌딩은 동문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2011년 10월 11일 준공식을 가졌으며, ‘개교 원년 찾기’ 운동으로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1895년으로 바로잡는 등 동창회 중흥의 역사를 이끌었다 .

내실 도약기 (2014. 3~2020. 3)

제25·26대 회장을 지낸 서정화 동문은 서울대학교 120년사 편찬사업, 역사연구기록관 건립, 장학사업의 양과 질을 제고하는 등 총동창회의 내실 있는 도약을 위해 노력하였다. 서정화 회장은 ‘풀뿌리 장학금’ 모금 운동과 서화 전시회, 동문 상조 서비스를 활용한 신(新) 기부문화를 정착시켰으며, 회장 임기를 2년 단임으로 하고 회장추대위원회 제도를 신설하는 등 더 많은 동문에게 기회를 줌으로써 인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하였다. 제27대 회장으로 선출된 기악과 출신의 신수정 동문은 총동창회의 첫 여성회장으로서 여성 특유의 섬세함과 꼼꼼함으로 동문에 필요한 서비스를 세밀하게 분석해 재정비함으로써 질을 높였다. 또한, 예술인 회장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며 기존 행사를 보다 알차고 풍성하게 기획·개최함으로써 총동창회의 위상을 드높였다.